<삶의 질 개선하기 프로젝트 : 체중 증량하기>
문제정의 : 나는 왜 살이 안 찔까?
나의 하루 평균 섭취 칼로리에 적지 않은 충격을 받은 뒤 (1487kcal...)
1800kcal이상 먹기를 5/14일부터 시작했다.
나의 가설은 딱 하나
높은 칼로리->체중증가
딱 이것 하나만 지키려고 노력했다.
매일 1800kcal이상을 넘기진 못했지만
의식적으로 많이 먹으려고 노력했다.
(여성 권장칼로리에 못 미치지만 한번에 2000kcal로
늘리는 것이 무리라 판단되어 일단 1800kcal로 정했다.)
그리고 실천한지 3주가 지났다.
검증해보자!
[가설1]
지난 한 달(4/8-5/13)보다 지난 3주간 (5/14-6/5)
평균 몸무게가 더 높을 것이다.
[검증]
먼저, 지난 한 달 평균이다.
칼로리: 1487kcal
체중(아침): 38.8kg
체중(저녁):39.3kg
이제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알아보자.
1. 지난 3주간 평균 섭취 칼로리와 체중
before : 4/8-5/13
after : 5/14-6/5
(1) 칼로리 변화
1487kcal -> 1624kcal로 평균 섭취량은 늘었지만
정규 분포로 보면 평균에 차이가 없다.
100kcal 더 많이 먹은 것 가지곤 결과의 변화를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..
목표였던 1800kcal이상 섭취하기도
달성하지 못했다. (흐규)
다만 그래프를 잘 보면 새로운 사실을 알 수 있다.
1500kcal 이후 before는 급격히 그래프가 떨어지는 반면에 (상단이 뾰족함)
after의 그래프는 완만하게 내려가 2500kcal가 넘어서야 선이 0 으로 수렴하는 것(상단이 둥금)
을 알 수 있다.
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
after에서의 최대 칼로리 양이 before보다 높고
2000kcal이상 먹은 횟수가 before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.
평균에서는 보이지 않는 그래프의 미세한 차이에서 나의 노력을 엿 볼 수 있다.(히히)
(2) 체중 변화
평균:39.0kg -> 39.2kg
아침: 38.8kg -> 39.0kg
저녁: 39.3kg -> 39.5kg
이 역시 평균 수치로만 보면 0.2kg밖에 증가하지 않았다.
그러나 체중(저녁) 그래프를 보면 더 많은 사실을 알 수 있다.
before에서는 39미만과 39.5사이를 자주 왔다갔다 했다면
after에서는 39 이상을 항상 유지했다고 볼 수 있다.
어찌 됐든 평균 올리기에는 실패했다.
(결과와는 별개로 내가 노력했음을 반영하는
그래프를 볼 수 있어서 기분이 좋다)
[결론]
내가 처음에 세운 계획은
한달에 1-1.5kg
2주에 0.7kg
찌는 것이었다.
1800kcal이상 먹기에 실패했고 그에 응당한 결과로
3주간 평균체중은 0.2kg만이 늘었다.
실패!!
내가 실천한 결과가 명확하게 나오니
변명할 여지도 없다.
점들이 전체적으로 1800이하에 분포해있다.
칼로리↑-> 체중↑의 가설을
다시! 확실하게!
실천한 후 결과를 보아야겠다!
[가설2]
밀가루나 빨강을 많이 섭취한 날은 장활동이 안 좋을 것이다.
두 번째 가설을 세운 이유는
지난 3주간 열심히 먹긴 했지만
식단을 관리하며 먹지는 않았다.
집에 있는 것은 보이는대로 그냥 먹었다..
그러다 보니 복통, 설사, 막힘.. 등등
배변 활동이 정상적이지 못 했던 날들이 있었다.
한국에서는 특히 밀가루에 대한 이미지가 안 좋은데
직접 밀가루 섭취와 장활동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싶었다.
noom어플로 밀가루 섭취 칼로리를 계산했고
장활동은 내가 매일 상태 변화를
느끼며 직접 good/soso/bad로 나누어 기록 했다.
[검증]
(1) 하루 평균 밀가루 섭취량
(2) 밀가루 섭취량과 장활동
good/bad 기준(민망하지만...)
good : 오전에 활동함/ 개인적인 느낌(하하)
bad : 복통을 동반한 배변/ 설사/ 배변x
그래프의 차이가 뚜렷이 보인다.
밀가루를 적게 먹었을 때 장활동은 good
밀가루를 많이 먹었을 때 장활동은 bad
(2) 빨강 음식과 장활동
(빨강은 noom에서
아주 소량의 양만 권장하는 음식이다.
한 마디로 몸에 좋지 않은 음식!)
빨강을 제일 적게 먹을 수록
장 상태가 good이긴 하지만
그 차이가 확연하지 않아
(3) 초록과 장활동
(초록은 몸에 좋은 권장하는 음식)
초록을 많이 먹는 날에 확실히 장 상태가 좋았다.
[결론]
1.
내 장은 밀가루를 싫어하고 있었다.
빨강 음식 보다는 밀가루를 줄이는 것이
장활동 상태를 건강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이다.
2.
초록을 많이 먹을수록 확실히 장 상태가 좋아진다.
그러나 밀가루를 아예 안 먹을 수는 없다.(떡볶이 너무 좋아)
사실 하루 평균 500kcal의 밀가루 섭취는 높지
않은 것이라 생각한다.
단순히 밀가루를 먹었다, 안 먹었다가 아니라
언제 먹었는지 (빈 속에/밤 늦게)도
함께 알아봐야 밀가루를 계속 먹으면서도
장을 관리 할 수 있을것이다!
마무리
체중 변화에 대한 시각화 자료를 보며
평균 값 이외에 더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.
그래프가 나타내는 미묘한 차이를 살펴보는 재미가 쏠쏠하다.
그 차이에는 분명 이유가 있고 어떤 현상에 의해 반영이 된 것이다.
그것을 알아내고 분석해야 인과관계까지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.
생활데이터에서 중요한 것은 실천하고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.
하다보면 점점 어렵고 복잡한 분석도 필요하게 될 텐데
파이썬의 시각화 기능이 지금도 도움이 많이 되지만
더 깊게 공부해 다양하게 활용해보고 싶다.
'데이터 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판다스 데이터 시각화 종류 (기초) _ matplotlib(seaborn) (0) | 2019.07.25 |
---|---|
체중 변화 분석 ( +판다스 데이터 시각화) (0) | 2019.07.09 |
데이터 분석 (체중관리 3차) (0) | 2019.07.07 |
데이터 전처리 기초 (1) | 2019.06.26 |
데이터 분석 (체중 관리 1차) (0) | 2019.06.02 |